etc

만성콩팥병(만성신부전)-원인, 증상, 치료

짱포도 2025. 6. 25. 09:32
728x90

만성콩팥병(CKD)
chronic renal failure , chronic kidney disease 




신장의 기능이 3개월 이상 수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증상입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될수록 사망 위험이 높아지며 신기능저하로 투석을 받는 말기 신부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 이하입니다.

 

 

 

  • 1단계: 사구체여과율 90%. 소변검사 이상.
  • 2단계: 사구체여과율 60~89%. 
  • 3단계: 사구체여과율 30~59%. 신기능 이상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
  • 4단계: 사구체여과율 19~29.
  • 5단계: 사구체여과율 15% 미만. 투석이나 이식 고려.




원인

 

 

  • 당뇨
  • 고혈압
  • 다낭성 신장 질환
  • 사구체신염
  • 자가면역질환 (루푸스)
  • 혈관질환
  • 유전성질환
  • 고지혈증
  • 선천적인 요로계 기형
  • 요로 폐쇄(폐색)
  • 아밀로이드증
  • 요로결석




증상

 

 

거품뇨
부종
콜라색 소변
소변량감소
농축뇨
야뇨증
빈혈
저혈압
불쾌한 호흡 냄새
피로감
근쇠약
경련
하지불안 증후군
식욕감소
두통
빈혈
가려움증(요독)
구역
구토
호흡곤란 (심부전 증세)
발작
산증
고칼륨 혈증
통풍




진단

 

  • 소변검사 
  • 영상검사
  • 신장기능검사
  • 혈액검사
  • 병력확인(당뇨, 고혈압)
  • 신장 초음파
  • 신조직검사 (생검)




치료

 

원인이 있다면 원인(질환) 치료를 시행합니다. 치료약제에 따라 신장 보존에 유리해지거나 신독성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혈압관리
  • 기저질환 관리
  • 체중감량
  • 고지혈증 관리
  • 혈액투석
  • 복막투석
  • 신장이식




식이



  • 수분 제한
  • 단백질 제한
  • 저염식





경과/합병증

 

  • 뼈질환
  • 골절
  • 전해질이상(칼륨주의)
  • 심혈관계 이상: 울혈성심부전, 심장질환
  • 부종심낭염
  • 뇌손상
  • 죽상동맥경화증
  • 신장성 공형성장애
  • 사망



예방

 

반드시 금연합니다. 
당뇨환자는 혈당조절에 신경을 씁니다.
운동을 통한 체중감량으로 비만하지 않게 체형을 관리합니다.
소염진통제의 사용을 피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