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변이성 협심증(이형성 협심증)-원인, 증상, 치료

짱포도 2025. 2. 4. 22:29
반응형

변이성 협심증(이형성 협심증)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수축으로 심장으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서 발생합니다. 혈전으로 발생하는 전형적인 협심증과 다른 형태의 협심증이며 동양인의 발생 빈도가 더 높습니다.




원인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관상동맥의 경련





증상



주로 새벽이나 아침에 흉통(경련)이 발생합니다. 일반 협심증 환자보다는 저연령층에게 잘 발생합니다.


  • 쥐어짜는 듯한 흉통
  • 흉부 압박감
  • 흉부 뻐근함
  • 흉부 거북감



위험인자


  • 흡연
  • 과음
  • 유전
  • 연령
  • 고혈압
  • 당뇨병
  • 고지혈증
  • 산화스트레스
  • 자율신경계의 긴장도 상승




※술이 깨면서 새벽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위장관 질환으로 오인할 수 있습니다.





진단


관상동맥조영술




치료


약물치료로 쉽게 호전됩니다. 그러나 1년 이상 장기간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타나지 않는다고 전문의의 동의 없이 환자 임의로 약을 끊으면 심근경색/ 심장마비 등 위험한 상황으로 악화할 수 있습니다



  • 니트로글리세린 (혀 밑에 넣는 설하정 OR 구강 스프레이)
  • 칼슘 차단제



⚠급사

환자는 니트로글리세린을 항상 소지하며 약물로 조절되지 않을 경우 지체하지 않고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생활 가이드


변이성 협심증 치료는 약물치료와 함께 반드시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해야 합니다. 



  • 금주합니다.
  • 금연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법을 찾습니다.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