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결절(歌手結節)
singer's nodules
양성 점막 질환

지속적인 목소리 남용 등으로 발생하는 음성장애입니다. 특정 직업군의 직업병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성대점막 자극→ 울혈, 출혈→섬유화로 두꺼워짐

- 지속적인 음성 남용
- 부적절한 발성
- 흡연(간접흡연)
- 매연
- 과음
- 알레르기
- 외상
- 갑상샘 질환
- 뇌신경학병 질병
- 구개열(입천장 갈림증)
- 스트레스
- 시끄러운 환경
- 치료 약물
- 기타 심인성 원인
증상

쉰 목소리(애성)
목소리 변화
목의 통증
목의 불편감
발성통
고음 발성 장애
쉰 목소리는 대화할 때보다 노래할 때 더 민감하게 느껴집니다. 많은 가수, 뮤지션들이 성대결절로 인해 창법이 변하거나 장기간 슬럼프를 겪기도 합니다.
위험군 (직업병)

- 가수
- 성악가
- 교사
- 강사
- 성우
- 소리꾼(득음)
- 6~7세 남아
- 30대 초반 여성
진단
문진
후두 내시경(laryngeal telescope)
화상회성경술(stroboscopy):후두 스트로보스코피

치료
☑️보존적 치료 (우선적 치료)
침묵요법: 성대 휴식, 가능하면 말을 하지 않습니다.
생활습관 개선: 금연, 금주, 카페인 제한, 식이요법(고지방음식 끊기, 잠자기 전 공복유지)
발성법 교정
혀의 위치 교정 훈련
☑️수술
전신마취후 원통형 기구를 후두에 삽입하여 레이저나 정밀한 기계로 성대의 덩어리를 제거합니다.
목을 다쳤었거나 목 디스크가 있는 경우, 때로는 수술이 불가할 수도 있습니다.
어린이의 경우 비수술이 원칙이며 대부분은 수술하지 않아도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합병증
직업상의 이유로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하거나 성대결절을 방치하면 목소리가 영구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또는 수술 후에도 성대결절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식이요법
물을 많이 마십니다.

다음의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고지방식이: 삼겹살, 튀김, 견과류 등
- 카페인: 커피, 녹차, 홍차
- 알코올
- 탄산음료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회화(석회성) 건염-원인, 증상, 치료 (68) | 2025.03.26 |
---|---|
글리세롤 중독 증후군[유아 슬러시 쇼크] (99) | 2025.03.25 |
후비루증후군-원인, 증상, 치료 (132) | 2025.03.21 |
난치성 두통-원인, 증상, 치료 (126) | 2025.03.20 |
아르기닌혈증(아르지닌혈증)-원인,증상,치료 (145)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