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性早熟症, Precocious Puberty

성호르몬이 이른 시기에 분비되어 2차 성징이 조기에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남아: 만 9세 이전
- 여아: 만 8세 이전
원인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성호르몬이 이른 시기에 분비되어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에 대해서는 영양과다, 체중증가, 환경호르몬 등 여러 가지 추정 요소가 존재하지만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성조숙중은 여아의 발생률이 10배 이상 더 흔하지만 기질적 원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남아의 경우가 더 흔합니다.
1. 진성 성조숙증
☑원인 질환 없이 발병하는 경우(특발성)
- 여아:80%
- 남아:50%
☑중추신경계 종양
다양한 종양이 생식샘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중추신경계 이상
- 뇌염
- 뇌수막염
- 뇌손상
- 뇌증
- 수두증
- 뇌종양
- 기타 신경계 질환
2. 가성 성조숙증
☑맥쿤-얼브라이트 증후군
성조숙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여아의 경우 난소 과다 기능으로 사춘기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밀크커피 반점(cafe-au-lait spot)
•뼈가 섬유조직 연화
☑고환 종양
☑가족성 테스토스테론 중독증
☑부신 안드로겐 과다 분비
남성호르몬 과다 분비
☑자율성 난포낭
☑난소 종양
☑갑상샘 저하증
증상
유방 조기 발육
조기 초경
음모 조기 발생
여드름
신장 속도 증가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 구토, 시력 저하 등 다양한 증상 동반
진단
골 연령 진단 x-ray 검사
혈액 검사
mri
치료
성조숙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최종 신장이 성인 평균보다 작아집니다. 치료제로 쓰이는 사춘기 지연제가 키를 크게 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사춘기 지연제로 인해 불임이 되는 것도 사실이 아닙니다.

1. 진성 성조숙증
-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
2. 가성 송조숙증
- 원인 질환 치료
- 테스토스테론 억제제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축성 위염-원인, 증상, 치료 (102) | 2025.03.29 |
---|---|
IgA신증(신병증)-원인, 증상, 치료/사구체신염 (61) | 2025.03.28 |
석회화(석회성) 건염-원인, 증상, 치료 (68) | 2025.03.26 |
글리세롤 중독 증후군[유아 슬러시 쇼크] (99) | 2025.03.25 |
성대결절-원인, 증상, 치료 (66)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