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소아 청소년 우울증의 증상, 치료 /가면성 우울증

짱포도 2023. 6. 7. 00:05
반응형

소아청소년 우울증

 
 
 
 

어른이 보기에는 별 것 아닌 일도 아이에게는 심각한 마음의 상처가 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의 성인들은 어린이나 청소년의 우울감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도 합니다. 최근 청소년 자살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며 그 원인인 소아 청소년의 우울증 또한 큰 문제로 관심받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소아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절망감, 허무감, 죄책감 등의 형태 등 전형적인 성인의 우울감과는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가면성(假面性) 우울증

Smile Mask Syndrome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한 채 겉으로는 항상 밝은 모습을 보이며 웃고 있지만, 내면에는 우울함과 무기력감과 같은 불안한 심리상태를 경험하는 증상입니다. 어린이나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인지, 사고, 감정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성인과 다르게 우울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주로 신체적 증상, 비행, 공격적 행동 등으로 나타냅니다.

 
 
 
 

원인

 

 

  • 부모를 잃음 (사망, 이혼)
  • 우상을 잃음
  • 학교 생활의 어려움
  • 친구 관계 단절
  • 신체적 장애
  • 학대
  • 가정 폭력
  • 자연재해
  • 유전 (취약성)
  • 갑상선 기능 부전
  • 약물 남용

 
 

👉관련글: 베르테르 효과와 미디어

 
 


 

증상

 

 

  • 우울감
  • 짜증
  • 잦은 울음
  • 의학적 원인 없는 통증 (예: 복통, 두통)
  • 집중력 저하
  • 초조
  • 흥분
  • 폭력적인 행동
  • 수면 부족
  • 수면 과다
  • 악몽
  • 표정 변화
  • 비행
  • 식욕 저하
  • 과다 식욕
  • 외출 거부
  • 자기 비판 증가
  • 극단적인 언행 (죽음)
  • 절망
  • 공허감
  • 에너지 상실
  • 성적, 학습 능력 저하
  • 일상 생활이나 교우 관계에 대한 흥미 상실
  • 귀중한 소유물을 나누어 줌
  • 죽음에 대한 생각 증가
  • 죄책 망상
  • 관계 망상
  • 환청
  • 처벌 망상
  • 자살 위협 

 

 



치료

 


신경 호르몬을 조절하는 항우울제를 사용한 약물 치료와 인지 행동/대인 관계 치료를 병행합니다. 플루옥세틴, 세르트랄린, 파록세틴과 같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이 소아와 청소년의 우울증 치료에 가장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약물입니다. 항우울제의 부정적인 인식과는 다르게 알려진 만큼 습관성,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한 부스피론(항 불안제)를 이용해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물 치료도 시행합니다. 삼환계 항우울제(이미프라민 등)을 포함한 일부 기타 항우울제가 약간 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부작용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소아에게는 잘 쓰지 않습니다. 소아일 경우에는 대부분 정신요법 치료를 선행합니다.
 

부작용이 있거나 증상이 호전되어 보여도 의사의 판단 없이 약물 복용을 바로 중단하지 않고  9~12개월 정도 유지합니다.
 
 
 

 



☑아빌리파이정 (Abilify Tab)

청소년의 경우 권장 용량:  1일 10 mg
 
※경고:
주요 우울증이나 기타 정신과적 질환을 앓는 소아, 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 대한 단기간 연구에서, 항우울제가 위약에 비해 자살 성향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단독 처방 시에는 체중이 잘 늘지 않아도 실제로 세로토닌 재흡수 계열 억제제, 항우울제와 같이 병용할 경우에는 기전 변화로  식욕과 체중이 증가합니다.
-참고: 정신과 의사 뇌부자들 유튜브 채널-
 



☑렉사프로정 (Lexapro Tab)

 
※경고:
자살 성향 및 항우울제
주요 우울증이나 다른 정신과적 질환을 가진 소아, 청소년 및 젊은 성인(18~24세)에 대한 단기간의 연구에서 항우울제가 위약에 비해 자살 충동과 행동(자살 성향)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가정에서의 가이드

 

소아(아동) 청소년의 자살이 항상 우울증과 연관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자녀 혹은 피양육자가 자살 관련한 이야기를 하거나 자살을 시도한다면 보호자(의사) 는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또 매시간 감독해야 합니다. 반드시 소아 청소년 정신과를 방문하여 적기에 치료를 받게 합니다.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