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대사증후군-원인,증상,치료

짱포도 2025. 2. 24. 15:08
반응형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



고혈당, 고혈압, 고밀도콜레스테롤, 비만, 죽상경화증 등, 신진대사와 관련한 여러 질환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원인



대사증후군의 발생기전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일 것으로 추정합니다.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비만 등이 있습니다. 

  • 스트레스
  • 신체활동 감소
  • 교감신경 활성화
  •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





증상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에는 대부분 무증상입니다.


  • 복부 비만
  •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 (ex: 당뇨)





진단


세 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대사 증후군으로 정의합니다.



  1. 중심비만/허리둘레(central obesity)→남자: 102cm 초과,, 여자: 88cm 초과
  2. 중성지방(hypertriglyceridemia)→150mg/dL 이상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 mg/dL 미만
  4. 공복혈당→100mg/dL이상, 혹은 혈당조절약 투약 중
  5. 혈압→ 이완기 혈압: 85 mmHg. 수축기 혈압: 130mmHg, 혹은 고혈압약 투약 중





치료


대사 증후군은 생활습관병입니다. 단일한 질병이 아니기 떄문에 단일 치료법은 없습니다. 필요한 경우 질환별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



다이어트



흡연자는 금연합니다.
금주/ 절주합니다.
내장지방을 중심으로 체지방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체활동을 늘리고 중증도 이상의 운동을 정기적으로 합니다. 동시에 올바른 식이요법을 실천합니다. 

  • 빨리 걷기
  • 자전거 타기
  • 조깅
  • 수영
  • 배드민턴 
  • 등산
  • 줄넘기




식이요법


칼로리 밀도가 높은 음식을 피합니다.
정제되지 않은 통곡물을 섭취합니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 위주의 식사를 합니다.
단순당과 트랜스지방의 섭취를 줄입니다.
빵, 과자, 육류를 최소화합니다.
포화지방산 섭취를 줄이고 오메가-3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 대체합니다.
충분한 식이섬유를 섭취합니다.





경과


대사증후군 환자는 당뇨, 만성 콩팥병, 뇌졸중, 심뇌혈관질환, 고혈당. 혈중지질이상, 지방간,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각종 암에 걸릴 위험도 높습니다. 이에 따른 사망률 역시 더 높습니다.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