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
고혈당, 고혈압, 고밀도콜레스테롤, 비만, 죽상경화증 등, 신진대사와 관련한 여러 질환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원인
대사증후군의 발생기전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일 것으로 추정합니다.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비만 등이 있습니다.

- 스트레스
- 신체활동 감소
- 교감신경 활성화
-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
증상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에는 대부분 무증상입니다.

- 복부 비만
-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 (ex: 당뇨)
진단
세 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대사 증후군으로 정의합니다.
- 중심비만/허리둘레(central obesity)→남자: 102cm 초과,, 여자: 88cm 초과
- 중성지방(hypertriglyceridemia)→150mg/dL 이상
-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 mg/dL 미만
- 공복혈당→100mg/dL이상, 혹은 혈당조절약 투약 중
- 혈압→ 이완기 혈압: 85 mmHg. 수축기 혈압: 130mmHg, 혹은 고혈압약 투약 중
치료
대사 증후군은 생활습관병입니다. 단일한 질병이 아니기 떄문에 단일 치료법은 없습니다. 필요한 경우 질환별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

다이어트
흡연자는 금연합니다.
금주/ 절주합니다.
내장지방을 중심으로 체지방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체활동을 늘리고 중증도 이상의 운동을 정기적으로 합니다. 동시에 올바른 식이요법을 실천합니다.

- 빨리 걷기
- 자전거 타기
- 조깅
- 수영
- 배드민턴
- 등산
- 줄넘기
식이요법

칼로리 밀도가 높은 음식을 피합니다.
정제되지 않은 통곡물을 섭취합니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 위주의 식사를 합니다.
단순당과 트랜스지방의 섭취를 줄입니다.
빵, 과자, 육류를 최소화합니다.
포화지방산 섭취를 줄이고 오메가-3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 대체합니다.
충분한 식이섬유를 섭취합니다.
경과
대사증후군 환자는 당뇨, 만성 콩팥병, 뇌졸중, 심뇌혈관질환, 고혈당. 혈중지질이상, 지방간,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각종 암에 걸릴 위험도 높습니다. 이에 따른 사망률 역시 더 높습니다.

320x100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민성 대장 증후군-원인,증상,치료/저포드맵식단 (85) | 2025.02.25 |
---|---|
간헐외사시(소아사시)-원인,증상,치료 (51) | 2025.02.22 |
괴혈병(비타민C 결핍)-원인,증상,치료 (132) | 2025.02.18 |
치은염-원인, 증상, 치료 (123) | 2025.02.17 |
노인성 난청-원인, 증상, 치료 (113)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