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레이노 증후군
Raynaud's disease, raynaud’s phenomenon
추위에 노출되거나
감정적 스트레스가 있을 때
특히 손발이 창백해지거나 파랗게 변하는 것
![](https://blog.kakaocdn.net/dn/kWogo/btssgprMf3O/LMDZ0pZlKgDBok6C2kPFWK/img.jpg)
원인
1 일차성 레이노현상
다른 질환과 연관 없이 단독으로 발생한 경우, 대개의 경미한 레이노 현상은 일차성입니다.
2 이차성 레이노현상
다른 기저 질환의 증상이나 유발 원인으로 발생
2-1 이차성 레이노 현상 유발 질환
![](https://blog.kakaocdn.net/dn/rLxn8/btssbCll06k/HSTPBeGMHmOqrTQRkkkgT1/img.jpg)
- 경피증
- 전신성 증후군
- 죽상동맥 경화증
- 혼합결채조직질환
- 쇼그렌증후군
- 루푸스
- 류마티스 관절염
- 피부근염
- 다발성 근염
- 버거씨병
- 폐동맥 고혈압
- 흉부출구증후군
- 말초혈관질환
- 신경학적 질환
- 진동기계 사용- 잭해머, 파워드릴
- 크라이오글로블린혈증
- 파라단백혈
- 베타 차단제
- 항암제
- 교감신경흥분제
- 편두통약물
- 니코틴
- 코카인
- 비닐클로라이드
![](https://blog.kakaocdn.net/dn/PIK4A/btssgtgAONu/4kbWrYmNKVLQSCLjGBzeKk/img.jpg)
증상
손가락이나 발가락 혈관이 갑자기 수축했다가 곧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느려진 혈액 순환으로 피부가 창백해지거나 청색증이 발생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UZlf/btssiik7N3v/sggakvgWYwIStHC6DmOXzk/img.jpg)
이후 손발의 색깔은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붉어지면서 경계가 아주 분명하게 얼룩덜룩해집니다. 손발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Ri7n/btssk1Kbcw3/qN0GlTkLrs782xLwwRTd11/img.jpg)
흔히 말하는 수족냉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치료
대개의 환자는 증상이 매우 경미하고, 자주 발생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레이노 현상은 체질적으로 변화하며 발생하는 것이라 완치가 어렵습니다.
☑비약물치료
일차성 레이노현상은 대부분 비약물치료가 추천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dlHxm/btssfv0kkbG/wnqVmbfGKyJkt2AI5Wog1k/img.jpg)
- 몸을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 흡연자는 금연합니다.
- 교감신경흥분제가 포함된 약물을 피합니다.(콧물감기약, 에스트로겐, 베타차단제)
☑약물 치료
![](https://blog.kakaocdn.net/dn/bvUrEo/btsshwDUzUo/KJQ6kjlIHMgKq7oa3BxVL0/img.jpg)
- 칼슘채널차단제 ▶ 니페디핀, 암로디피
- 알파차단제 ▶프라조신
- 엔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 로사탄
- 플루오세틴, 항혈소판제, 보센탄
궤양을 동반한 심한 경우
- 프로스타글란딘제제 ▶일로프로스트(iloprost), 알프로스타딜(alprostadil), 림파프로스트(limaprost)
☑수술
약물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Xyqi/btssk3HZxbt/owyZgYQiu5F9QgNkD2MkaK/img.jpg)
- 수지교감신경절제술 ▶혈관 주위 조직의 유착을 푸는 수술
- 손, 발가락 절단술▶ 괴저가 발생한 경우
예방
- 손과 발을 포함해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
- 스트레스 관리
- 금연
- 레이노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피하기
320x100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상압수두증,정상뇌압수두증- 증상 /치매 (76) | 2024.01.10 |
---|---|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증상, 치료 (85) | 2024.01.09 |
반사회적 인격장애-증상, 치료 (36) | 2024.01.06 |
[보건복지부] 연명의료 결정제도 (59) | 2024.01.05 |
유잉육종, 소아암, 뼈암- 치료, 생존율 (61) |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