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문근융해증
Rhabdomyolysis
횡문근융해증이란 골격근 섬유에 에너지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괴사하고, 이로 인해 생긴 근육 세포에서 나오는 잠재적 독성 물질이 전신 순환계로 유입되는 내과적 상황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iMR3B/btslaHgdSh7/8URDf9HJQAGq4IBSf5oZVK/img.jpg)
이 독성 물질은 신장의 기능을 저해시킵니다. 특히 근육의 파괴로 인하여 나오는 여러 물질 중 미오글로빈의 과량 함유로 인해 적색이나 갈색뇨가 검출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7Yjx/btsls7KpIXl/caGWMOTjJaGMNSunUmLnUk/img.jpg)
급성신부전증의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 사망률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증세가 심하지 않고,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수주 내에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신장의 손상 정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집니다.
원인
①선천적 원인
- 횡문근 융해증의 재발
- 가족력
- 운동불내성
- 재발성 근육 경련
또는
- 대사성근육병
- 근이영양증
- 악성고열증
②후천적 원인
- 감염
- 국소적 혹은 전신 근육의 허혈
- 장시간의 부동 자세 ➡압박 증후군, 학대, 장기간 근육 압박을 받는 자세로 수술한 경우
- 비 외상성 운동➡과도한 운동(훈련받지 않은 사람), 덥고 습한 환경에서 운동한 경우, 땀 흘림에 의해 저칼륨혈증이 생겨 혈관 확장에 의한 혈류 증가가 안 되는 경우.
![](https://blog.kakaocdn.net/dn/cjfBQL/btslcDqFfKP/OldAO8jzDuadKgezhXAor1/img.jpg)
③그 외
- 대사성 근 질환(당합성, 당분해, 지질 대사, 퓨린대사 장애)
- 악성 고열증
- 신경 이완제 악성 증후군
- 전신 마취 부작용 (succinylcholine, 석시니콜린)
- 저체온증
- 약물
- 감염
- 금식
- 음주
- 독소
- 전해질 장애
- 내분비 장애
- 염증성 근 질환
진단
![](https://blog.kakaocdn.net/dn/d5yRP7/btslboOfSnp/I7ShEvAvc1nKB0l7K9rpz1/img.jpg)
혈청 근육 효소 수치(CK)가 정상의 5~10배 이상으로(1000 IU/L이상) 증가된 경우
증상
- 급성 신부전 ➡환자의 14-46% 정도에서 나타난다고 보고됨
- 급성 혹은 이 급 성으로 발생되는 근육통
- 근 무력감
- 근육 쇠약
- 적색이나 어두운 색의 소변(미오글로빈의 과량함유)
- 심정지⚠️
- 심부정맥 (저칼슘혈증)
- 고열
- 구역질
- 구토
- 의식 혼란
- 간기능 손상
- 섬망
![](https://blog.kakaocdn.net/dn/b8Jal4/btslhdSvOqe/sUkc6o1GWjrG65tjO2kpjk/img.jpg)
👉관련글: 섬망이란-원인,증상,치료
치료
급성기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리 식염수를 공급함으로 신장 기능을 보존하고 급성 신부전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사구체를 여과시키고 신장 순액량을 증가시키면 신부전, 신세뇨관 괴사 등의 합병증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적극적인 수액 치료를 통해 마이오글로빈을 신장 밖으로 빠르게 배출시켜야 합니다. 강력한 염기성 이뇨를 통해 대사성 산증, 고칼륨 혈증, 저칼슘혈증 등의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3Y1J2/btsldOrVPg7/9iUJadVjay81aHTq8Fpbak/img.jpg)
그러나 노인 혹은 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폐부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체액량과 전해질 이상에 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심한 고칼륨혈증 및 대사성산증이 발생할 시 혈액 투석이 고려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3xrgM/btslbpzHENV/gaTHbDmRn9jBWdOEVHBOwK/img.jpg)
이후,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치료를 하게 됩니다. 원인이 약물과 독소라면 제거하고, 가능하면 해독합니다. 대사성근육병 또는 근이영양증이 식별되면, 재발을 피해야 하므로,
- 당대사장애 환자➡격렬한 운동을 피한다.
- 지방산 산화 장애 환자➡지방산대사가 유발되는 지속적인 저강도운동/금식을 피한다.
- 마취와 관련하여 듀센형 혹은 베커형 근이영양증 환자➡ succinylcholine의 사용을 피한다.
- 악성 고열증 환자의 경우 ➡마취 시 주의
사망률
급성신부전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 8% , 급성신부전이 동반될 경우 42%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횡문근융해증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구획 증후군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구획증후군: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압이 상승하여, 모세 혈관에서의 관류가 저하되는 상태
![](https://blog.kakaocdn.net/dn/bwsgaA/btslmVwYWL0/TMHk5Skl8HKuc50nfxEyQ0/img.jpg)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차신경통-원인, 안면통증, 유동성틱 (128) | 2024.02.21 |
---|---|
전정신경염-메스꺼움/ 치료 (167) | 2024.02.20 |
이석증- 원인, 증상, 치료 (60) | 2024.02.16 |
돌발성 난청의 원인, 증상, 치료 (113) | 2024.02.15 |
밀러피셔증후군-원인,증상,치료 /눈마비 (100) | 202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