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蜘蛛膜下出血

사람의 뇌 실질을 감싸고 있는 뇌막은 경막, 지주막, 연막의 3종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 거미줄 모양인 지주막 아래 공간에 뇌출혈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원인
뇌동맥류의 파열(동맥 팽출 파열)에 의한 것이 전체의 65%

- 선천성 뇌혈관 벽의 이상 (뇌동맥류, 뇌동•정맥 기형)
- 동맥 경화
- 추골 동맥의 박리
- 심방의 점액종(양성종양)에 의한 색전
- 균사체에 의한 뇌혈관염
- 혈액응고 이상
- 고혈압
- 외상
원인 및 병태 생리에 대해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증상

갑작스럽고 극심한 두통
심한 구역질
구토
실신
의식 저하
안면 혹은 눈 통증
안구의 운동
안검하수
복시
흐릿한 시야
광선 공포증
뻣뻣한 목
경련/ 발작
혼수상태
사망

✔치료
✅동맥류 경부 직접 결찰술
동맥류 경부를 동맥류 클립으로 묶어 재출혈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동맥류로 혈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체순환계로부터 완전히 분리합니다.

☑비수술 치료
▶혈관 내 코일 색전술
특수합금 코일 와이어를 뇌혈관 조영술과 같은 방법으로 뇌동맥류에 삽입해 뇌동맥류를 막는 방법입니다.
▶혈관 내 스텐트 이식술
파열을 예방하기 위해 동맥류의 개구부에 와이어로 만든 튜브(스텐트)를 영구 삽입합니다. 스텐트는 동맥류 주변의 혈류를 정상적인 경로로 변경해 혈액이 동맥류를 차단합니다.
➡약물치료

- 심한 두통→ 아편유사제 등의 진통제
- 혈관 경련/ 이후의 허혈성 뇌졸중 예방→ 니모디핀(칼슘 통로 차단제) 경구 투여
- 대변연화제
*⚠항응고제(헤파린,와파린), 항혈소판제(아스피린), 기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투여하지 않습니다.
합병증: 수두증
지주막하 출혈로 누출된 혈액이 응고되어 두개 내 압력을 증가시킵니다.
증상: 두통, 졸음, 혼동, 메스꺼움 및 구토, 혼수 및 사망
수두증 발생 시 경우에 따라 뇌실-복강 간 단락술을 시행합니다.
예방
금주, 금연합니다.

⚠위험인자
- 고혈압
- 당뇨
- 고지혈증
- 흡연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니스엘보/ 외측상과염- 팔꿈치 통증 (1) | 2023.08.23 |
---|---|
천장관절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 (1) | 2023.08.23 |
가와사키병- 소아 혈관염/ 관상 동맥류 합병증 (1) | 2023.08.21 |
진전- 떨림증 /수전증, 파킨슨 (2) | 2023.08.20 |
안질환- 익상편/ 군날개 (1) | 202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