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409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의 증상, 치료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 (사람) Human parainfluenza viruses, HPIVs 급성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주로 4~8월에 유행하기 때문에 ‘여름 감기'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는 4급 감염병입니다. 원인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parainfluenza virus 인플루엔자와 닮았으나 파라믹소바이러스에 속하며, 혈청형은 1형에서 4형까지 있습니다. 그중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2형입니다. *2형: 원숭이, 개에게도 수의학적 질병들을 일으킵니다. 감염 경로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전파되거나, 환자의 물건이나 음식 등의 비말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증상 약 2∼6일간의 잠복기가 있습니다. 생후 6∼24개월의 영유아에게 치명적일 확률이 크고, 성인의 경우 감..

etc 2024.07.18

골반염-증상, 원인, 치료/불임, 성병

✔골반염pelvic inflammatory, 骨盤炎 여성의 자궁내경관에 번식하고 있던 세균이 골반 내 자궁내막과 나팔관, 복강 등 부속장기에 퍼지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산부인과 출입을 꺼리는 10대 후반~ 2•30대 여성에게 많이 생깁니다. 병원에 가지 않아 질염이나 자궁경부염을 방치하면 골반염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골반염의 치료가 늦어진다면 여성이 추후에 자궁 외 임신을 하거나 나팔관, 난소, 골반 내 유착을 만들어 불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균 (성병균) 임질균(Neisseria gonorrhoeae)클라미디아 균(Chlamydia trachomatis) ☑기타 원인균 (혐기성 세균)(정상 질 내 세균주)Provolla, Peptostreptococci, Gardne..

etc 2024.07.16

리스테리아(Listeria)-증상,치료,원인/회선병,식중독

✔리스테리아(Listeria)= 리스테리아병, 리스테리아증, 회선병  리스테리아균 감염으로 생기는 인수공통 감염병입니다.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 더 잘 발생하며, 임산부가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사산이나 조산할 수 있습니다.  ✔원인 임산부60세 이상 노인면역 저하자당뇨•신장병•암•에이즈(HIV)• 이식 환자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아온 사람은 더욱 쉽게 감염됩니다.     오염된 육류우유연질 치즈가금류채소비위생적인 조리 환경오염된 흙리스테리아 보균자 어머니새우훈제 연어델리카트슨 샐러드(코울슬로)핫도그기타 조리하지 않은 냉장 보관 즉석/ 훈제 식품 ✔증상독감, 패혈증과 유사한 증세열근육통메스꺼움구토설사두통경련뇌수막염 (목 뻣뻣함 동반)   ⚠임산부가 감염될 경우이 경우도 독감 증세와 유사합니다. 모체..

etc 2024.07.15

가시아메바 각막염의 위험성 + 강아지

가시아메바(아칸트 아메바) acanthamoeba 가시아메바속에 총칭으로, 자유 생활 아메바입니다. 주로 흙, 담수 등의 물에서 관찰되며 그 외에 수돗물 등 여러 환경에서 서식합니다. 주로 박테리아를 포식하는 생물체로,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게 감염되어 질환을 일으킵니다. 가시아메바 감염 경로 가장 흔한 경로로는 가정 내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로 인한 감염입니다.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에게 감염될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 450배 정도 높습니다. 한국 인구의 약 10%가 콘택트 렌즈를 사용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오염된 수돗물이 렌즈에 닿으면 ‘가시아메바’ 가 달라붙게 됩니다. 미생물이 잘 떨어지지도 않고 달라붙기는 좋은 콘택트렌즈를, 심지어 식염수도 쓰지 않고 수돗물로만 헹구는 행동을 해서는 안..

etc 2024.07.14

큐열(Q열)-원인, 증상, 치료

▶큐열 (Q熱, Query fever)Q: '의문(query)'을 뜻하는 기호 (발견 당시에는 의문의 병)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콕시엘라 버내티(Coxiella burnetii)라는 균에 감염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감염력이 강하나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환자 격리는 필요하지 않아도 환자의 객담(가래)이나 혈액 또는 오염된 물건은 소독해야 합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망률은 약 1~2%입니다. 인체 감염은 주로 호흡기나 소화기를 통해, 혹은 감염된 동물과 직접 접촉함으로 인해 이루어집니다. '리케차성 폐렴', '발칸 감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제3급 법정감염병2006년 1월 4군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 1월 감염병의 질병관리본부의 진단기준이 개정되어 제3급 ..

etc 2024.07.12

좌골 신경통- 엉덩이통증/ 치료 허리디스크

좌골 신경통sciatica 좌골신경에 발생한 압박, 손상, 염증 등으로 인해 좌골신경과 관련된 부위를 따라 나타나는 통증을 말합니다. 이 신경은 척추 아래쪽 허리에서 엉덩이를 지나 무릎 바로 밑에서 끝납니다. 허리 통증이 있는 사람 중 약 5%에서 나타납니다. 원인 좌골신경은 요추 4번, 5번 신경과 천추 1번, 2번, 3번 신경이 모여 형성됩니다. 원인불명척수 신경 뿌리 압박/ 염증/ 손상추간판 탈출증 (허리 디스크)척추관 협착증신경 주변 근육의 과도한 긴장근근막통증 증후군인대 염좌골관절염골 파제트병당뇨병 (당뇨병성 신경병증)척추 종양혈종농양 진단 X-ray 검사 CT 촬영 MRI 근전도 검사 증상 좌골신경통은 보통 한쪽에만 영향을 줍니다. *방사 통증: 일반적으로 신경의 경로를 따라 다른 곳으로 이동..

etc 2024.07.07

일본뇌염-예방접종, 증상/ 모기매개감염병

일본뇌염 Japanese encephalitis, 日本腦炎 여름철~ 초가을 발생주의 일본 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에 감염된 작은 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또는 뇌염모기)에게 물려 감염되어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연령에 관계없이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2018~ 2022년) 국내 환자의 약 87%가 50대 이상으로 신고되었습니다. 원인 플라비비리대(Flaviviridae) 과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 속에 속하는 정 20면체 모양의 바이러스 주로 돼지의 체내에서 증식합니다. 증상 잠복기: 5∼15일 대부분이 무증상입니다. 두통고열현기증목 경직구역구토..

etc 2024.07.05

[건강보험 지원]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양압기 치료/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 지원 기준 수면 무호흡 관련 상병 및 기준에 해당되어 양압기가 필요한 것으로 전문의로부터 진단받고, 공단에 등록 신청서를 제출하여 등록한 사람 👉진단 기준 ✅제1 형 수면다원검사(Leve I) 결과 1. 무호흡-저호흡 지수(AHI)가 15 이상 2. 무호흡-저 호흡 지수가 5 이상 15 미만불면증, 주간 졸음, 인지기능 감소, 기분장애, 고혈압, 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 기왕력, 산소포화도 85% 미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상이나 합병증 또는 심각한 수면다원검사 결과가 동반된 경우. ✅소아의 (12세 이하) dml 수면다원검사 결과 1.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5 이상인 경우 2. 수면다원검사 결과에서 무호흡-저 호흡 지수가 1 이상 5 미만 불면증, 주간졸음, 부주의-과행동증, 아침두통,..

etc 2024.06.13

야토병(산토끼병)- 원인, 증상, 치료

✔야토병野兔病, Tularemia rabbit fever 야토병이란 말 그대로 야생 토끼에서 옮는 병입니다. 야토병균 (Francisella tularenis)에 의해 발생하며, 인수공통 감염병입니다. 사람대 사람으로 전염된 기록은 없습니다. 법정감염병(제4군) 및 생물테러감염병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원인 주로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에 감염된 이, 벼룩, 진드기 등의 절지동물을 매개체로 합니다. 사슴파리, 사슴등애(deerfly) 등 다른 벌레에 물리거나, 야토균에 감염된 산토끼나 기타 설치류 등의 뼈에 찔리거나 사체에 접촉해서도 감염됩니다. 피부병변과 접촉해도 피부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야토균에 오염된 음식과 식수를 마시거나, 에어로졸 등 먼지와 흙으로 균을 흡입하는 경..

etc 2024.06.11

뇌성마비- CP/ 원인, 증상, 치료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腦性痲痹 근육의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상태 뇌성마비는 질환이 아니라 여러 원인인자로 비슷한 임상적 특징을 가진 증후군들을 집합적으로 일컫는 개념입니다. 원인 뇌성마비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하나 이상의 원인인자로 발생해 원인을 알 수 없기도 합니다. ①산전 인자(prenatal factors)• 산소 부족 (허혈성 뇌 병증→뇌실 주변 백질연화증(periventricular leukomalacia) • 감염에 의한 뇌 손상 • 뇌 기형 주로 미숙아에게서 발생 ②주산기 인자(perinatal factors) →출산 전후의 시기• 핵 황달 • 저산소증 • 풍진 • 톡소포자충증 • 감염▶ 지카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등 ③산후 인자(postnatal fact..

etc 2024.06.02

스키터증후군, 모기 알레르기, 모기 피하기

스키터 증후군Skeeter Syndrome스키터증후군은 모기에 물렸을 때 심하게 붓고 열이 오르는 등 중증의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면역체계가 미숙한 어린이에게 더 자주 나타난다고 알려졌습니다. 정의 우리 몸속 면역 세포는 모기의 타액을 위험한 외부 물질로 인식하면서 가려움을 유발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보통의 사람은 살짝 붓고 가려운 증세가 하루 이틀이면 호전됩니다. 그리고 스키터증후군 환자는 이 반응이 오래가고 물집이 생기는 등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심각하게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관련글:아나필락시스 쇼크- 약물 알레르기,에피네프린 hl 증상 스키터증후군 증상은 알레르기 증상이므로 바로 병원을 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치료 시기..

etc 2024.05.31

아데노 바이러스의 증상, 예방, 감염 경로

아데노 바이러스 Adenovirus, HAdV 아데노바이러스는 1953년 코의 뒤쪽 비인두의 상벽과 후벽에 위치한 삼각형 모양의 림프 조직-> 아데노이드조직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DNA 바이러스입니다. 주로 어린이집 등에서 영•유아(성인 보호자)에게 전염되어 전국적으로 확산•유행하고 있습니다. 눈곱 감기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감염 경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됩니다소아: 분변•경구 경로잠복기는 1~10일 정도입니다. 갓 태어난 아기는 모체에서 항체를 받았기 때문에 항체 양성률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항체가 감소하여 약 7세에는 항체 양성률이 성인과 비슷합니다. 증상 ➡️호흡기 코막힘콧물폐렴편도선염인후염기침 등 ➡️눈 심한 눈곱결막염 ➡️전신 증상전신 쇠약감열..

etc 2024.05.29

고칼륨혈증- 칼륨이 많은 음식, 치료

➡정의혈청 칼륨 농도의 정상치는 3.5~ 5.5 mmol/L로, 이를 초과하는 경우입니다. 고칼륨 혈증 hyperkalemia동의어: 고 포타시움혈증 건강한 성인에서 칼륨의 흡수율은 85%입니다. 흡수되지 않은 칼륨은 대변을 통해 배설됩니다. 흡수된 칼륨의 77~90%는 신장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걸러져 배설됩니다. 따라서 신장이 정상 기능을 하는 사람에게 고칼륨혈증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칼륨 (포타슘)Kalium, K / potassium potassium은 영어 potash(잿물)에서 유래하였고, 칼륨(kalium)이라는 이름은 알칼리라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칼륨은 생물의 물질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무기물질로써 체내 세포의 전기적 활성화, 세포 내 단백질, 글리코겐의 합성 조절, 세포의 ..

etc 2024.05.28

야경증의 원인, 증상, 치료 (소아/성인)

야경증 sleep terror disorder 비렘(NREM) 수면 각성장애 중 하나로, 소아에 주로 발생하며 자다가 갑자기 극심한 공포로 깨서 비명으로 시작되는 공황상태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수면 중 경악 장애라고도 합니다. 대체로 4~12세 사이의 소아의 유병률은 약 1~6% 정도입니다. 남자 아이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며, 청소년기에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의 발생률은 1% 미만입니다. 성인의 경우 20~30세 사이에 가장 흔히 시작됩니다.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정서적 불안스트레스중추신경 억제제 수면 부족고열 공포증 및 불안유전과도한 긴장피로 ➡성인의 경우 스트레스 상태에서 음주를 한 경우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상 수면 중에 일어나서 강한 공포에 질린 듯한 발성과 동..

etc 2024.05.27

하지불안 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식이요법

하지불안 증후군 restless legs syndrome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학적 상태입니다. 주로 낮보다 밤에 더 잘 발생하여 수면 장애를 일으킵니다. 원인 많은 경우 원인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당뇨, 신부전, 말초신경병증, 전립선염, 방광염 등의 질병/ 또는 유전적 영향일 수도 있습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엔 30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주로 뇌의 도파민 시스템의 불균형이 관련된 것으로 추측합니다. 도파민이 만들어지는 데 철(Fe)이 필요하므로 철분 결핍을 주요한 원인으로 여기기도 합니다. 스트레스나 임신 후기의 호르몬 변화가 하지 불안 증후군을 일시적으로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증상 하지불안 증후군 환자들은 다리, 발, 혹은 손과 몸통 같은..

etc 2024.05.26

지카바이러스 감염- 모기 매개 감염병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ZIKV 이집트숲모기•흰줄숲모기(Aedes)를 매개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일종입니다. 발생 지카바이러스 감염병은 해외유입 감염병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으로 휴가철 해외 방문이 늘어난 것이 최근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합니다. (2023 국내 환자 발생: 3명, 태국 환자: 110명 집계 ) 특정 모기에 의한 발생 이외의 경우 성접촉/ 성관계 : 질, 항문, 구강성교/ 동성간 성접촉 포함수혈임산부-태아간 수직감염 : 모유수유로 인한 전파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장기이식실험실에서의 노출 ⚠주의지역 아프리카아메리카 (중남미)동남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등 /태국은 뎅기열 발생 지역에서 확산 중) 증상 3~14일의 잠복기가 있습니다. 치사율이 낮고,..

etc 2024.05.22

묘소병/바트로넬라 헨셀라에의 증상,치료

묘소병(猫搔病) cat scratch disease고양이가 할퀴거나 문 후에 국소적으로 생기는 질환입니다. 고양이 이빨은 강아지의 것보다 훨씬 날카로워서 상처가 깊게 남고, 세균도 잘 침투합니다. 고양이가 물어서 생긴 상처가 28~80%가 감염으로 이어진다는 캐나다의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원인 바트로넬라 헨셀라에(Bartonella henselae) 세균 고양이가 물거나 할퀴어 세균 감염이 일어나면 림프절이 붓고 열이 나며, 국소적으로 임파선염, 몸살 등을 앓게 됩니다. 원인균은 고양이의 털에도 묻어있기 때문에 고양이를 쓰다듬은 손으로 눈을 비벼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사람에게는 묘소병이 연령 상관없이 흔한 질환이지만 고양이에게는 잘 발병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증상 묘소병은 주로 두부, ..

etc 2024.05.21

베르테르 효과와 미디어

베르테르 효과 Werther effect 베르테르 효과란 유명인, 평소 존경하거나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이 자살할 경우 그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해서 안타까운 선택을 시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베르테르 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1974년, 미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필립스(David Philips)가 가장 먼저 “베르테르 효과”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The Sorrows of Young Werther) 독일의 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자신의 실연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1774년에 간행한 소설입니다. 무명작가였던 괴테를 유명인 반열에 올려놓은 작품이기도 합니다. 당시 이 책의 영향력은 대단해서 당시 유럽의 많은 젊은이..

etc 2024.05.19

골육종- 뼈암, 소아암/ 증상/ 생존률

골육종Osteosarcoma, sarcoma 골육종은 뼈나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종양(암) 중에서 가장 흔합니다. 10대 성장기 남성에게 가장 많이 발병합니다. 암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부위는 무릎 주변의 뼈입니다. 원인뚜렷한 발병 원인을 찾을 수 없습니다. 과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암이 잘 발생하는 특정 질환 증후군이 있는 경우이전에 있던 전암성 병변에서 2차 발생한 경우 유전흡연유전성 망막모세포종(눈동자에 생기는 암) 환자잘못된 식습관 거의 대부분의 청소년 골육종 환자는 이런 발병 원인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증상 오래 지속되는 심한 뼈 통증 해당 부위 부종 치료 ➡️수술 •종양 제거 수술 골육종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종양 주변의 정상 조직을 포함한 광범위한 절제술이 필요..

etc 2024.05.14

황반변성- 원인과 치료, 예방과 관리

황반변성 macular degeneration 눈 안쪽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부가 변성되어 시력 장애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변성이 발생했다는 말은 '시력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황반 부위가 퇴화하여 빛을 보는 기능을 소실했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황반변성에 걸리게 되면 실명할 수 있습니다. 원인 ➡️대표적인 원인 :노화 노화에 의한 황반 변성을 나이와 관련 황반변성 또는 노인성 황반변성, 노년 황반변성이라 합니다. 건성 나이 관련 황반변성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 유형의 황반변성 유병자 중 본인이 질환이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3.5%에 불과합니다. ➡️스타가르트병이 질환은 ABCA4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10대에 황반의 기능 이상이 시작되기도 합니다. 예방법과 치료법..

etc 2024.05.12

혈관염- 증상, 치료, 합병증

혈관염vasculitis, 血管炎 혈관벽에 염증이 생기는 병들과 이에 따른 조직 손상이 발생을 전체적으로 일컫는 용어입니다. 신체 내 모든 형태의 혈관과 모든 장기의 혈관이 침범될 수 있으며, 침범하는 혈관의 크기나 부위에 따라 다양한 징후가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한 가지 소견만을 가지고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원인 발생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류마티스 질환과 같이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상태에서 환경적인 요인이 가해져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혈관염은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입니다. 병원성 면역복합체가 형성되어 혈관벽에 침착되는 경우,감염/ 약물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증상 침범하는 부위에 따라 다른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초기에 항상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미열..

etc 2024.05.03

결절종-증상, 치료, 물혹/손 종양

결절종ganglion  신체(손)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얇은 섬유성 피막 내에 약간 노랗고 젤라틴같이 끈적이는 관절액이 차는 낭포성 종양입니다. *낭포:물혹엄밀하게  종양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종양과 비슷한 상태입니다. 주로 손에, 그리고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2~3배 많이, 연령은 20~30 대에게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해당 부위를 자주 사용하면 커지고, 쉬면 가라앉습니다. 초음파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가까이에서 손전등을 비췄을 때, 혹이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으로도 간단하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원인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외상 등으로 인하여 관절액이 연부 조직으로 새고, 그 고임으로 인해서 만들어진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그러나 환자는 결절종 발생 이전에 발생한 ..

etc 2024.04.28

PESM 증후군, 정신적 과잉 활동 증후군의 특징

정신적 과잉 활동 증후군PESM(Personnes Encombrées de Surefficience Mentale) PESM, 우리말로 정신적 과잉 행동이라고 불리는 이 증후군은 병리학적 혹은 정신의학적 개념은 아닙니다.  ➡ PESM 증후군이 있는 경우 공상이 많고 비정상적으로 많은 사고를 합니다. 단순히 상상력이 풍부하거나, 생각의 양이 많다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기질을 가진 사람을 ADHD 환자나 심한 감정 기복 환자로 여겼습니다. 물론 지금도 종종 양극성 장애나 조현병, 경계선 성격장애로 오진되곤 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특수한 형태의 PESM입니다.  그러나 PESM은 치료가 필요한 병이 아니며, 다수의 사람들이 겪는 현상을 단어로 만들어 낸 대중심리학적 개념어에 가깝습니다. ..

etc 2024.04.26

호산구성 식도염-원인,증상,치료

✔호산구성 식도염eosinophilic esophagitis‧EoE, 好酸球性 食道炎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구가 식도벽을 채워서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염증성 장애입니다. 주로 소아기에 발병하지만 모든 나이의 성인에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 소아의 음식 거부식욕 부진삼킴 장애(삼킴 곤란)식도 음식 박힘식도 협착식도 폐쇄 구토 (혈액 동반)체중 감소 복통 흉통 속 쓰림 위식도 역류병(GERD)과 유사한 증상.→타는듯한 가슴 통증.✔위험인자 (원인) 음식 알레르겐 유전적 요인 환경 요인 자가면역질환▶염증성 장 질환(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 병 등), 류마티스 관절염, 셀리악병 등   ✔진단 내시경 검사바륨 삼킴 x-ray식도 근육 생검  ✔치료 ☑식단 조절알레르기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어떤 ..

etc 2024.04.25

농가진의 원인, 증상, 치료

농가진 膿痂疹 impetigo주로 여름철에 6세 미만의 소아나 영유아의 피부에 잘 발생하는 얕은 화농성 세균 감염을 말합니다. 전염성이 높고 물집, 고름과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성인은 미용실, 수영장, 목욕탕 등에서 주로 전염됩니다. 원인 ➡️물집 농가진 황색 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이 분비하는 표피박리독소(exfoliative toxin)에 의해 표피 상층부에 물집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접촉전염 농가진 주원인균은 황색 포도알균 (Staphylococcus aureus)입니다. 덥고 습한 지역에서는 화농성 사슬알균(Streptococcus pyogenes)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피부에 상처가 있는 부위를 통해 세균이 침입합니다. 증상 ➡️접촉전염 농가진 전..

etc 2024.04.22

렙토스피라증의 증상과 치료 +강아지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렙토스피라증은 북극과 남극 외의 어느 지역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급성 열성 질환입니다. 확률 자체는 낮긴 하지만 연령이 올라갈수록 사망할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사람과 동물이 서로 전염시킬 수 있는 인수 공통 감염병입니다. 원인 렙토스피라(Leptospira) 너비 0.1 μm, 길이 6~20 μm. 매우 가늘고 양끝이 고리처럼 구부러져 있습니다. 단단하게 나선형으로 꼬인 형태의 스피로헤타(활발한 운동성을 지닌 나선균)입니다. 온도, 산성, 세균의 오염 등에 예민해서 pH 5인 곳에서는 2일 만에 죽어버리며, 70도로 가열해도 10초 이내에 죽습니다. -렙토스피라 인테로간스 (Leptospira interrogans) -병원성 렙토피라스 동물의 몸 밖에서도 오랜 기간 생..

etc 2024.04.21

특발성 폐섬유증-원인, 증상, 치료, 신약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IPF), 特發性肺纖維症 폐실질의 섬유화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간질성 폐렴의 일종입니다. 발병 원인은 알 수 없으며, 인구 10만 명 당 3~5명 정도의 확률로 생기는 희귀 질환입니다. 50세 이상, 흡연력이 있는 사람일수록 잘 발생합니다. 원인에 따라 몇 개월 간 경과가 서서히 좋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완치할 수는 없습니다. 환자는 폐 기능이 떨어져 서서히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예후가 매우 나쁜 질병이며, 초기에는 감기 증상과 비슷해 모르고 방치할 수 있습니다. ✔원인 여러 가설이 있지만 현재 뚜렷하게 입증된 원인은 없습니다. ⚠위험 인자흡연환경 :방사선 노출, 유해공기미세흡인: 분진, 목재나 금속먼지바이러스유전 위식도역류질환 ✔증상..

etc 2024.04.20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원인, 증상, 치료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비알코올성 지방 간질환(NAFLD)은 그 원인이 알코올에 기인하지 않은 지방간입니다. 비만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현대인은 영양상태가 좋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의 수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지방간이란fatty liver간 무게의 5~10% 이상이 지방이라면 지방간입니다. 그 이하로 약간의 지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정상입니다. 단순 지방침착 (simple steatosis)지방간염간경변 을 모두 포함합니다. NAFLD는 나아가 간섬유화, 간암, 간부전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습니다. 섬유화가 진행되면 정상 조직..

etc 2024.04.16

안젤만 증후군-원인, 증상, 치료 _희귀질환 산정특례

✔안젤만 증후군Angelman Syndrome, AS 발달 지체, 과도한 웃음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는 유전적 발달질환입니다. 엔젤만 증후군 또는, 행복한 꼭두각시 증후군이라고도 부릅니다. ✔원인 명확한 발생기전이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어머니로부터 유래한 15번 염색체의 장완 근위부(15 q11 q13)의 미세결실이 주요 원인인 경우가 70-75% 정도입니다. ✔증상 ☑100% 나타나는 증상 •매우 심한 기능적 발달 장애 •언어 장애대부분 말을 하지 못합니다(발화 장애), 극히 적은 수의 낱말을 사용하거나 아예 낱말을 사용한 구어적인 소통을 하지 못합니다. •운동실조(Ataxia)및 균형 조절 장애대개는 운동 실조증으로 보행하지 못하거나, 사지 경련의 특징이 있습니다. •동일한 행동양상모..

etc 2024.04.05

망막색소변성증-원인, 증상, 치료, (실명)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網膜色素變性症 망막의 광수용체 기능(빛자극)에 문제가 생겨 망막에 색소가 쌓이면 시각 세포가 손상되고,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진행성 망막변성질환입니다. 이 병은 유전성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약 4000명: 1명의 발병률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의 정확한 환자 수는 확인된 바 없습니다. 심한 야맹증 증상이 있으면 망막색소변성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국내 3대 후천성 실명원인망막색소변성증 녹내장 당뇨변성망막증 ✔원인 유전자 이상으로 추정합니다. 👉가족력 👉가족력이 아닌 경우: 돌발적 발생 (단독형) ✔증상 •법정 실명병의 증상과 심한 정도, 진행 속도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상당수의 환자가 수십 년 병을 앓으면서 서서히 시력을 잃는 경우가 대부분..

etc 2024.04.04